8년 만에 늘어난 채무불이행자…20대 청년 가파른 상승세 뚜렷 [미래를 저당잡힌 청년들 <상>]

입력
기사원문
김광우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고금리·고물가에 취약차주 채무부담 급증
작년 신불자 7.4% 증가...20대 2년새 1만명↑


빚의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신용불량자가 된 이들의 수가 약 8년 만에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코로나19 사태에 이어 역대급 고금리 상황이 장기화되면서 불어난 상환 부담을 이기지 못하고 무너지는 이들이 늘어난 것이다.

특히 20대 청년 신용불량자의 수가 타 연령대에 비해 가파른 상승세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경제상황이 악화되면서 소득 창출 능력 및 경제 기반이 약한 이들을 중심으로 대출 부실이 가속화된 영향이다. 본격적인 경제활동에 참여하기도 전에 ‘빚’에 발목 잡혀 도태되는 청년들이 급증하고 있다는 얘기다.

▶채무 불이행자, 1년 새 4.5만명↑...전 연령대서 증가세=24일 헤럴드경제가 더불어민주당 김성주 의원실에 요청해 받은 NICE평가정보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말 기준 채무 불이행자(구 신용불량자) 수는 65만3141명으로 2022년 말(60만8003명)과 비교해 4만5138명(7.42%)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불과 2022년까지만 해도 채무 불이행자 수는 한 해 2만6634명이 줄어들었었다. 하지만 지난해 들어 급격한 증가세를 보였다. 채무 불이행자가 2014년과 비교해 약 2000명가량 소폭 증가했던 2015년 이후 약 8년 만에 나타난 증가 추이다.

심지어 증가 속도는 2003년 이후 약 20년 만에 가장 빠르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2002년 263만명 수준이었던 채무 불이행자는 2002년 카드대란 사태 이후 1년 새 100만명가량 불어났다. 하지만 이후 신용회복위원회 워크아웃 등 채무조정 프로그램, 법원의 개인회생·파산제 도입 등 신용회복 제도가 활성화되며 완만한 감소세를 보였다. 고령 채무 불이행자의 사망으로 인한 자연소멸 요인도 일부 작용했다.

그러나 2022년 급격한 기준금리 인상 이후 고금리·고물가 상황이 지속되면서 금융 취약계층의 채무 부담이 급격히 늘어났다. 이에 따라 지난해에는 전 연령대에서 채무 불이행자가 증가했다. 고금리 이자 부담에도 불구하고, 채무 원금을 상환하지 못하는 상태에 놓인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연체가 늘고 있는 셈이다. 실제 지난해 11월 말 기준 전체 차주의 1인당 평균 채무액은 1억2618만원으로 1년 전(1억2601만원)과 비교해 거의 변동이 없었다. 하지만 같은 기간 채무 불이행자의 평균 채무액은 3736만원에서 5613만원으로 50.2%(1877만원) 늘어났다.

▶“고금리·고물가 버텨낼 힘 없어” 20대 채무 불이행자 급증=무엇보다 20대 청년 채무 불이행자의 증가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지난해 11월 말 기준 20대 채무 불이행자는 7만8885명으로 전년 말(7만1395명)과 비교해 10.49%(7490명)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타 연령대의 채무 불이행자 증가율은 30대(6.6%·7378명), 40대(4.6%·7226명), 50대(6.5%·9985명) 등으로 20대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60대 이상 채무 불이행자 또한 12만1478명에서 12만9062명으로 11.25% 늘어나며 20대와 유사한 수준의 증가세를 보였다. 그러나 60대 이상 채무 불이행자는 기존에도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였다. 1997년 외환위기, 2002년 카드대란 사태 등을 거치며 채무 불이행자로 전락했으나, 적절한 신용회복 절차를 밟지 못한 이들이 점차 고령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20대 채무 불이행자의 경우 2021년 6만8651명까지 줄곧 감소세를 보였다. 증가 추세를 보인 것은 급격한 금리 인상이 시작된 2022년이다. 2021년 중 1728명 줄어들었던 20대 채무 불이행자는 바로 다음해에 2744명(3.99%) 늘었다. 다만 2022년은 타 연령대의 채무 불이행자 증가 추세가 나타나지 않은 시점이다. 비교적 소득 기반이 탄탄하지 않은 20대에 고금리·고물가 타격이 먼저 가해진 셈이다. 심지어 지난해 기준 20대 채무 불이행자의 1인당 평균 채무액은 약 1900만원으로 전체 평균(5600만원)과 비교해 3분의1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비교적 소액이지만, 소득 창출능력이 부족한 상태에서 고금리 대출을 받아, 이를 갚지 못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는 얘기다. 김광우 기자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