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PF 관리 실패 증권사 경영진에 책임 묻겠다”

입력
수정2024.01.29. 오후 5:05
기사원문
이재연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김주현 금융위원장(가운데)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오른쪽)이 24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개최한 증권업계 간담회에서 국민 자산형성 지원을 위한 증권업계의 역할과 증권업계의 신뢰제고 방안 등을 논의하고 있다. 금융위 제공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리스크 관리에 실패해 시장을 흔드는 증권사에는 책임을 묻겠다고 경고했다. 특히 피에프로 인한 유동성 문제가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증권사를 향해서는 존폐 문제를 거론했다.

김주현 금융위원회 위원장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24일 증권사 10곳 대표이사 등과 함께 증권업계 간담회를 열었다. 간담회에서는 부동산 피에프 리스크 관리가 주로 거론됐다. 이 원장은 “증권사의 부동산 피에프 리스크가 금융시장 불안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했다. 부실한 사업장은 신속하게 정리하고 관련 충당금도 충분히 쌓아달라고 재차 주문했다.

일부 증권사가 어려움에 빠져 시장 전체가 흔들릴 경우에는 책임을 묻겠다고도 했다. 이 원장은 “일부 회사의 리스크 관리 실패가 금융시장에 충격 요인으로 작용할 경우에는 해당 증권사와 경영진에 엄중하고 합당한 책임을 물을 수밖에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위기 때마다 반복됐던 유동성 부족 상황이 또 다시 발생하는 금융회사는 그 지속가능성에 의문을 가질 수밖에 없다”고 했다. 최근 시장에서는 다올투자증권과 에스케이(SK)증권 등이 부동산 피에프로 인해 재무안정성 문제를 겪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부동산 시행사의 자기자본비율 규제 도입 가능성도 거론했다. 이 원장은 “(기획재정부 쪽에서 20%로 얘기를 했는데) 저희와 정밀하게 협의된 건 아니다”라면서도 “방향성에 대해서는 생각이 같다”고 말했다. 이어 “20%가 아니라 오히려 100%에 가까운 정도로 자기 책임이 될 수 있는 상태에서 시행·개발하지 않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한다”며 “부동산 시장 정립을 위해서 금융권에서 할 수 있는 건 강도 높게 할 것”이라고 했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