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 성장률 ‘반토막’…지난해 1.4% 성장 그쳐

입력
기사원문
김진호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코로나 빼면 2009년 이후 가장 낮아
올해 내수 부진·수출 개선…2% 초반대 성장 전망
한은 “잠재성장률 올리려 노력해야”
지난해 한국경제가 1.4%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전망치에는 부합하지만, 고금리·고물가에 민간 소비가 떨어진 영향에 코로나19 위기 이후 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부산항 신선대부두가 분주한 모습이다. 연합뉴스


지난해 한국경제가 1.4%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전망치에는 부합하지만, 고금리·고물가에 민간 소비가 떨어진 영향에 코로나19 위기 이후 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특히 전년 대비로는 반토막이 났다.

한국은행은 2023년 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직전분기대비·속보치)이 0.6%로 집계됐다고 25일 발표했다. 분기별 성장률(전분기대비)은 수출 급감과 함께 2022년 4분기(-0.3%) 뒷걸음쳤다가 지난해 1분기(0.3%) 반등한 뒤 2분기(0.6%), 3분기(0.6%), 4분기(0.6%)에 걸쳐 네 분기 연속 성장 기조를 유지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연간 GDP 성장률은 1.4%로 집계됐다. 한은·정부의 연간 성장률 전망치와 같지만, 코로나19 대유행 첫해인 2020년(-0.7%) 이후 3년 만에 가장 낮다. 코로나19 시기를 제외하면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0.8%) 이래 최저다.

신승철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고물가와 고금리, IT 경기 회복 지연 등으로 민간소비와 수출 증가세가 둔화하면서 지난해 성장률이 2022년 2.6%보다 낮은 1.4%에 머물렀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4분기 성장률을 부문별로 보면 민간소비의 경우 재화소비 감소에도 불구하고 거주자 국외 소비지출을 중심으로 0.2% 늘었다. 정부소비도 건강보험급여 등 사회보장 현물 수혜와 물건비 위주로 0.4% 증가했고, 설비투자는 운송장비 등의 호조로 3.0% 성장했다. 수출은 반도체 등의 회복과 함께 2.6%, 수입은 석유제품 등을 중심으로 1.0% 각각 늘었다. 하지만 건설투자의 경우 건물·토목 건설이 모두 줄면서 4.2% 감소했다.

업종별 성장률은 △전기·가스·수도업 11.1% △제조업 1.1% △서비스업 0.6% 등으로 집계됐다. 농림어업(-6.1%)과 건설업(-3.6%)은 역(-)성장했다. 전기·가스·수도업의 고도 성장은 전기업에서 원전 비중이 높아져 발전 효율이 개선됐기 때문이라는 한은의 설명이다.

작년 4분기 실질 국내총소득(GDI) 증가율은 0.4%로 실질 GDP 성장률(0.6%)을 밑돌았다. 다만 지난해 연간 실질 GDI 증가율(1.4%)의 경우 교역조건이 2022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면서 실질 GDP 성장률(1.4%)과 같았다.

신 국장은 올해 경기 전망과 관련해 “계속 내수 부진이 주요 하방 요인으로, 수출 개선이 상방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전체적으로는 연간 경제가 개선세를 유지하면서 2%대 초반 성장률 흐름을 보일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저성장 고착’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우려도 나타냈다. 신 국장은 “잠재성장률 하락의 가장 큰 요인은 저출산·고령화 등 인구구조적 변화, 생산성 저하와 중국·인도 등과의 경쟁, 세계적 공급망 재편, 기후변화 이슈가 있다”며 “잠재성장률 하락을 완화하거나 잠재성장률을 올리려면 정부를 포함한 경제주체들이 노력해야 한다”고 답했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